- ResponseEntity 사용법 - Spring 3계층 의존관계 방향 설정 - 팀 회의 느낀 점 1. ResponseEntity 사용법 코드의 통일성을 확보하기 위해 Controller의 API 리턴 타입을 ReponseEntity로 일치시키기로 했다. ResponseEntity에 대해서 얼핏 알고만 있었는데 이번 기회에 사용할 수 있어서 좋았다. 일단 현재 내 코드에서 사용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컨트롤러의 API의 타입을 ResponseEntity로 해준다. - 리턴을 해줄 때 ResponseEntity를 사용해주고 builder 패턴을 이용해서 작성해준다. - ResponseEntity를 사용하면 header, body 등에 어떤 값을 넣어줄 지 직접 설정을 해줄 수 있다. 2. Spr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