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르타 내일배움 캠프/Today I Learned

'22.07.12 Today I Learned

hyunzxn 2022. 7. 12. 23:05

<학습내용>

- ResponseEntity 사용법

- Spring 3계층 의존관계 방향 설정

- 팀 회의 느낀 점

 


 

1. ResponseEntity 사용법

 

코드의 통일성을 확보하기 위해 Controller의 API 리턴 타입을 ReponseEntity로 일치시키기로 했다. ResponseEntity에 대해서 얼핏 알고만 있었는데 이번 기회에 사용할 수 있어서 좋았다. 

 

일단 현재 내 코드에서 사용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예시

 

- 컨트롤러의 API의 타입을 ResponseEntity로 해준다. 

- 리턴을 해줄 때 ResponseEntity를 사용해주고 builder 패턴을 이용해서 작성해준다.

- ResponseEntity를 사용하면 header, body 등에 어떤 값을 넣어줄 지 직접 설정을 해줄 수 있다.

 

 

2. Spring 3계층 의존관계 방향 설정

 

튜터님 피드백을 들으며 스프링 3계층의 의존관계 방향 설정에 대해서 다시 한 번 배우고 프로젝트 코드를 수정할 수 있었다.

 

스프링의 3계층에는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가 있다. 이 때 controller는 service를 의존하고 service는 repository를 의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나는 컨트롤러에서 repository를 의존관계 주입을 해놓는 등 이런 원칙을 잘 지키지 않고 있었다. 간단한 것 같지만 이런 계층별 의존관계를 잘 지켜가면서 개발하는 것이 중요함을 다시 알 수 있었다.

 

 

3. 팀 회의 느낀 점

 

오늘은 코드를 본 시간보다 팀 회의를 한 시간이 훨씬 길었던 하루였다. 튜터님들의 피드백을 하나 받고 팀원들끼리 얘기를 하다보면 또 다른 문제점이 생겨서 또 튜터님을 찾아뵈면 또 다른 문제가 생기고 이런 무한재귀가 발생하는 것 같은 하루였다.

 

그래도 다행히 팀원들이 다들 성실히 팀 회의 잘 참여해줘서 너무 고마웠고 어제 피드백 받은 부분이 많이 보완이 된 것 같았다. 커뮤니케이션을 더 적극적으로 해주셨고 팀 차원에서 통일하면 좋을 것들을 의견도 주시고 다른 팀원의 코드에 대해서 같이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지기도 했다. 또한 PR을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코드리뷰까진 아직 못 했지만 팀원과 코드에 대한 의견 교환도 할 수 있었다.

 

확실히 어제 피드백으로 인해 한 단계 더 성장한 것처럼 느껴졌다. 처음부터 잘했더라면 가장 좋았겠지만 이렇게 조금씩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생각한다.

 

 

 

728x90

'스파르타 내일배움 캠프 > 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7.14 Today I Learned  (2) 2022.07.15
'22.07.13 Today I Learned  (0) 2022.07.13
'22.07.11 Today I Learned  (1) 2022.07.12
'22.07.08 Today I Learned  (0) 2022.07.08
'22.07.07 Today I Learned  (0) 2022.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