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90

'22.07.18 Today I Learned

- Entity Column의 length 업데이트 하는 방법 1. Entity의 Column의 length 업데이트 하는 방법 상세페이지에서 댓글을 길게 작성했을 때 Data truncation: data too long for column 에러가 뜨면서 댓글이 정상적으로 저장이 되지 않는 문제를 겪었다. 해당에러는 예전에 다른 작업을 하면서 겪었던 바라 데이터베이스의 column 크기를 늘려주면 해결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래서 Entity로 만들어 둔 클래스로 가서 @Column(lenth = 1000) 이라는 새로운 코드를 적고 다시 시도를 해보니 여전히 되지 않았다. 여기서부터 삽질이 시작됐다. 유효성 검사를 위해 적어둔 @Size(max = 300) 이것이 문제인가 하고 이 부분도 바꿔보고..

'22.07.11 ~ '22.07.15 (내일배움캠프 13주차) Weekly I Learned

How to record Weekly I Learned ? => 4F What is 4F? Fact : 이번주 있었던 일, 내가 한 일 Feeling : 나의 감정적인 반응, 느낌 Finding : 그 상황으로부터 내가 배운 것, 얻은 것 Future : 배운 것을 미래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1. Fact • 팀프로젝트 3주차 진행 • 취업에 대한 고민 • 임포스터 신드롬에 알게 됨 2. Feeling & Finding > 역시나 이번 한 주도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시간을 보냈다. 어느새 벌써 3주차가 끝나고 이제 팀 프로젝트를 할 시간도 2주가 남았다. 시작할 때는 5주가 되게 길게 느껴졌는데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만나는 예기치 못 한 문제들이나 계속 변동되는 상황들 때문에 시간이 정말 촉박한 것 같..

'22.07.15 Today I Learned

- git rebase - 기타 튜터님들 피드백 및 팀 미팅 1. git rebase 오늘은 주로 시간을 git rebase에 대해서 이해하는 시간을 가진 것 같은데 절망스럽게도 아직까지 이해가 안 간다. 팀원 분이 자세하게 설명을 해주셨는데도 이해가 되질 않는다. 언제 rebase를 해야되는건지에 대해서 제일 이해가 안 가고 정확히 rebase를 알고 쓸 수 있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 주말에 시간을 내서 더 이 부분을 공부해봐야 할 것 같다. 2. 기타 튜터님들 피드백 및 팀 미팅 고객 피드백 받는 시간이 일주일이 미뤄짐에 따라 일주일의 시간동안 더 준비하면 좋을 것이 무엇이 있을지 튜터님이 설명을 해주셨다. 로그시스템을 구축해보라는 것이었는데 이 부분도 한 번 더 공부를 해봐야 할 것 같다..

'22.07.14 Today I Learned

- 유효성 검증 하는 법 - 깃허브 PR할 때 이슈 자동으로 닫는 법 1. 유효성 검증하는 법 스프링부트에서 유효성을 검증하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유효성 검증을 위한 어노테이션들이 있는데 이런 것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의존성을 build.gradle을 추가해줘야 한다. spring boot 2.3 version 이상부터는 spring-boot-starter-web 의존성 내부에 있던 validation이 사라졌기 때문에, 의존성을 따로 추가해줘야 한다. implementation group: 'org.springframework.boot', name: 'spring-boot-starter-validation', version: '2.5.6' 이렇게 하면 유효성 검증에 사용되는 어노테이션들을 사용할 ..

'22.07.13 Today I Learned

- 깃허브 Merge, Rebase 개념 1. 깃허브 Merge, Rebase 개념 자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develop 브랜치를 feature-comments 브랜치에 병합시켜주려고 할 때마다 자동으로 Merge 커밋이 생겨서 이 부분을 다른 팀원이 통일하면 어떻겠느냐 하는 의견을 주셔서 rebase 라는 것을 활용하기로 했다. Merge는 아예 브랜치를 병합을 시켜주는 것이다. Rebase는 그런데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base가 되는 브랜치를 변경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Merge를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Merge 커밋이 자동으로 남지 않는 것이다. 일단은 한 번 다시 쓰면서 더 익힐 부분을 익혀야 할 것 같다. 부디 별 다른 이슈가 생기지 않았으면 좋겠다.

'22.07.12 Today I Learned

- ResponseEntity 사용법 - Spring 3계층 의존관계 방향 설정 - 팀 회의 느낀 점 1. ResponseEntity 사용법 코드의 통일성을 확보하기 위해 Controller의 API 리턴 타입을 ReponseEntity로 일치시키기로 했다. ResponseEntity에 대해서 얼핏 알고만 있었는데 이번 기회에 사용할 수 있어서 좋았다. 일단 현재 내 코드에서 사용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컨트롤러의 API의 타입을 ResponseEntity로 해준다. - 리턴을 해줄 때 ResponseEntity를 사용해주고 builder 패턴을 이용해서 작성해준다. - ResponseEntity를 사용하면 header, body 등에 어떤 값을 넣어줄 지 직접 설정을 해줄 수 있다. 2. Sprin..

'22.07.11 Today I Learned

- 중간점검 후 피드백 1. 중간점검 후 피드백 오늘은 중간점검을 하고 피드백을 받는 날이었다. 피드백이 생각보다 쎄게 왔다. 그래서 좋았다. 단순히 그냥 칭찬만 해주시는 것이 아니라 부족한 점을 알려주시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알려주셔서 앞으로 팀 프로젝트를 어떻게 해야할 지 그림을 그릴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팀 협업이 조금 더 보완됐으면 하는 피드백이 주를 이뤘다. 코드의 통일성이라던지, 다른 사람의 코드에 대한 이해도 등 이제는 팀 차원에서 좀 더 커뮤니케이션을 많이 해보면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동안 기능개발을 하느라 커뮤니케이션에 소홀한 부분이 솔직히 조금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튜터님들 눈에는 그런 것이 바로바로 보이나보다. 오늘 꽤 장시간 팀 미팅을 하면서 앞으로 팀 프로젝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