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90

'22.05.02 Today I Learned

- 셀레니움이란 무엇인가? - 파이썬 split 과 rsplit 의 차이 - a 태그 클릭시 javascript 함수 실행하는 법 - DB에 있는 데이터 GET요청으로 화면에 표시해줄 때 함수 이용해서 하는 법 1. 셀레니움이란 무엇인가? 셀레니움이란 동적인 웹 페이지를 스크래핑할 때 사용하는 일종의 도구이다. 동적인 웹 페이지를 일반적인 스크래핑 방식으로 스크래핑 한다면 동적인 데이터는 가져올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웹 페이지를 브라우저에 페이지를 띄운 후 그 띄운 페이지를 스크래핑 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럴 때 사용하는 것이 셀레니움이다. 셀레니움을 사용하면 동적인 페이지 스크래핑 뿐 아니라 다양한 것을 할 수 있다. 셀레니움을 이용하면 스크롤, 버튼 클릭 등 전반적인 브라우저..

'22.04.25 ~ '22.04.29 (내일배움캠프 2주차) Weekly I Learned

How to record Weekly I Learned ? => 4F What is 4F? Fact : 이번주 있었던 일, 내가 한 일 Feeling : 나의 감정적인 반응, 느낌 Finding : 그 상황으로부터 내가 배운 것, 얻은 것 Future : 배운 것을 미래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1. Fact - 이번주는 프로젝트는 없이 계속해서 동영상 강의를 들으며 공부를 했다. - 지난주에 했던 미니프로젝트의 주제를 변경하는 팀 미팅 시간을 가졌다. - 타임어택 구현테스트를 탈탈 털렸다. - 튜터님들이 특강을 해주셨다. 2. Feeling + Finding ◻︎ AWS 너무 어려워ㅠㅠ 이번주는 동영상 강의 위주로 공부하는 주차였다. 기억에 남았던 것은 월요일부터 수요일까지 들었던 AWS 강의였다. 기억..

'22.04.29 Today I Learned

- jinja2 템플릿 언어 - 플라스크에서 URL 일부를 변수로 받는 법 - 타임어택 구현 테스트 느낀 점 1. jinja2 템플릿 언어 jinja2 템플릿 언어는 SSR(Server Side Rendering)을 위한 언어이다. SSR은 CSR(Client Side Rendering)에 비해 데이터를 불러오는 속도가 빨라서 더 빨리 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사용방법은 HTML 내에서 {% %} 을 적어주고 % 와 % 사이에 내용을 적어주면 된다. if문, for문 등등 다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조금 다른 점이 있는데 가령 if 문을 써주려고 한다면 {% if ( ) %} 이렇게 적어주고 {% endif %} 이런 식으로 if문이 끝났다는 표시를 따로 해줘야 한다. 반복문도 마찬가지이다..

'22.04.28 Today I Learned

- 파이썬을 이용해서 파일 업로드 하는 법 - 파이썬 datetime 라이브러리 - AWS 인스턴스 좀비 생성 이유와 해결한 법 - S3 Elasticbeanstalk 버킷 삭제 안 될 때 해결하는 법 - 튜터님들 특강 1. 파이썬을 이용해서 파일 업로드 하는 법 파이썬을 이용해서 파일을 업로드 하는 코드는 일단 다음과 같다. file = request.files["file_give"] # 1 save_to = 'static/mypicture.jpg' # 2 file.save(save_to) # 3 1번은 flask의 request를 이용해서 file을 가지고 오는 코드이다. "file_give"는 프론트 쪽 코드를 보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2번은 업로드할 파일이 저장되는 경로 + 이름이다. 3번은 이..

'22.04.27 Today I Learned

- AWS RDS 란 무엇인가? - Redis 란 무엇인가? - Elasticsearch란 무엇인가? 1. AWS RDS란 무엇인가? RDS란 AWS에서 매니지해주는 관계형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직접 RDBMS를 운영하면 까다로운데 RDS를 사용하면 비용을 조금 지불하더라도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Mysql, MariaDB, PostgreSql, 오라클 등등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해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부분은 그동안 아예 공부해보지 않고 웹 개발 종합반에서 들은 몽고디비를 사용해보는 것이 전부였다. 그래서 이번 강의에서 배운 관계형데이터베이스 부분은 이후에 다시 보면 더 이해가 잘 될 것 같다. 그래도 관계형데이터베이스 개념을 배우고 테이블의 개념을 배울 수 있..

'22.04.26 Today I Learned

- 프론트 배포하기 - 백엔드 배포하기 1. 프론트 배포하기 - CloudFront라는 AWS 서비스를 이용해서 리전에서 먼 곳에서도 서비스를 접속했을 때 속도가 느려지지 않게 만들어 줄 수 있다. - github Action을 이용하면 CI/CD를 쉽게 할 수 있다. (repository에 소스를 push 하자마자 자동으로 바로 배포가 시작됨) - github Action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폴더에 .github/workflows/main.yml 을 추가해주면 된다. 2. 백엔드 배포하기 - EC2란 쉽게 설명하자면 서버 컴퓨터를 빌려서 대신 사용하는 것이다. - 로드 밸런스 라는 것은 EC2에 한 번에 많은 트래픽이 발생했을 때 자동으로 EC2를 늘려주는 것을 의미한다. - EC2를 자동으로..

'22.04.25 Today I Learned

- AWS란 무엇이고 왜 사용하는가? - AWS S3는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하는가? - AWS IAM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하는가? - AWS SDK란 무엇인가? - S3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기능 사용해보기 - 파이썬 코드 사용하여 S3에 파일 업로드 해보기 1. AWS란 무엇이고 왜 사용하는가? AWS는 Amazon Web Service의 약자로서 현재 클라우드 서비스 중 제일 잘 나가는 1등 서비스이다. 클라우드 서비스란 인프라를 기존의 방식보다 더 쉽고 간편하게 구축할 수 있게 도와주는 서비스이다. AWS 안에서 세부적인 기술이 100가지도 넘게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한 번에 다 완벽하게 알고 사용하는 것보다는 필수적인 기술을 알고 필요할 때마다 찾아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다. 요새 ..

'22.04.23 Today I Learned

- GET과 POST 개념 Remind - 터미널 명령어 1. GET 과 POST 처음 서버에 대해서 배우고 api에 대해서 공부하다 보니 GET과 POST에 대해서 많이 헷갈렸다. 클라이언트와 통신하는 서버의 입장에서 생각해야 하는 것인지 서버의 입장에서 생각해야 하는 것인지 갈피를 잡기 힘들었다. 내일배움단 강의를 들으며 나름 정리해본 자료를 올리며 다시 기록을 남기고자 한다. 2. 터미널 명령어 터미널 명령어에 대한 간단한 유튜브 영상을 봤다. 이번에 미니 프로젝트를 하면서도 느꼈고 이전에 혼자 공부할 때도 느낀 거지만 개발자한테 터미널을 다루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인 것 같다. 내일배움단 강의에서 AWS 수업을 들을 때도 터미널을 많이 사용했었는데 한 번 터미널에 대해서 깊게 공부를 할 필요가..

'22.04.18 ~ '22.04.22 (내일배움캠프 1주차) Weekly I Learned

How to record Weekly I Learned ? => 4F What is 4F? Fact : 이번주 있었던 일, 내가 한 일 Feeling : 나의 감정적인 반응, 느낌 Finding : 그 상황으로부터 내가 배운 것, 얻은 것 Future : 배운 것을 미래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1. Fact ◻︎ 내일배움캠프가 시작됐다. ◻︎ 시작하자마자 git 강의를 들었다. 튜터님 강의 + (구)팀장님 설명을 함께 들었다. ◻︎ 바로 팀 미니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팀 프로젝트에서 날씨 및 위치 API를 사용하는 기능을 맡게 됐다. ◻︎ 협업 시 git flow란 것에 대해서 알게 됐다. ◻︎ 팀원들에게 우리 팀의 git flow를 위한 정리 자료를 만들어 제공했다. ◻︎ 기존 팀장님이 하차하게 되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