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90

'22.05.23 Today I Learned

- SQL 기초 문법 - 스프링 JPA 시작해보기 1. SQL 기초 문법 오늘은 RDBMS를 다루는 언어인 SQL에 대해서 배웠다. 프로젝트를 할 때 DB와 관련해서 꽤 애를 많이 먹었던 기억이 있어서 그런지 DB강의를 좀 더 꼼꼼하게 들어야지 하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또 들어보니 DB강의가 되게 재밌게 느껴졌다. (쉬운걸 배워서 그런가) 결론적으로 강의를 듣거나 프로젝트를 할 때 NoSQL인 MongoDB만 써 봤어서 RDB는 어떤지 많이 궁금했는데 오늘 배울 수 있어서 좋았다. 그런데 테이블 설계나 CRUD 전체를 배운다기보다는 R에 해당하는 조회만 배운다고 해서 약간 아쉽긴 했는데 일단 배울 수 있는 것에 감사하고 배우는 것에 일단 충실하자는 생각을 했다. SQL 기초 개념 - Query ..

백준 2525번 오븐 시계 문제

내가 짠 코드 나름 열심히 코드를 짜 봤고 문제에서 예시로 준 입력을 줬을 때도 정상적으로 출력이 잘 나오길래 맞았구나 싶었는데 세 번 연속으로 매정하게 틀렸습니다! 를 마주했다. 뭐가 문제인걸까.. 검색해서 찾은 코드 일단 내가 짠 코드에 비해 압도적으로 간결하다는데서 1차 충격을 먹었고 이건 정답으로 인정돼서 2차 충격을 받았다. 내가 짠 코드에는 조건에 시간이 들어가게 했는데 답안 코드는 일단 시간을 변하게 해놓고 그 이후에 조건에 넣어서 결과값을 출력하는 것이 나랑 가장 다른 것 같다. 이렇게 하니까 훨씬 가독성도 쉽고 이해하기도 쉬운 것 같다. 내 코드는 너무 지저분하고 식이 복잡해보여서 한 눈에 이해가 쉽지 않은 것 같다. 조건식에는 최대한 간결하게 하고 미리 세팅을 해둔 상태로 조건식에 넣는..

백준 2022.05.22

'22.05.16 ~ '22.05.20 (내일배움캠프 5주차) Weekly I Learned

How to record Weekly I Learned ? => 4F What is 4F? Fact : 이번주 있었던 일, 내가 한 일 Feeling : 나의 감정적인 반응, 느낌 Finding : 그 상황으로부터 내가 배운 것, 얻은 것 Future : 배운 것을 미래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1. Fact - Java 문법 공부 시작! - Java 문법 공부를 위한 백준 단계별 문제풀어보기 시작 2. Feeling + Finding - Java를 시작하며... 이번주부터 자바랑 스프링 강의가 열려서 자바 문법 강의부터 수강을 했다. 내일배움캠프를 시작하기 전에 잠깐 자바랑 객체지향 공부를 했었는데 기억이 다 희미해진 시점에서 다시 들으니 거의 새로듣는 것처럼 새로웠다.😂 문법 부분은 자바스크립트나 파이..

'22.05.20 Today I Learned

- GCP로 오토스케일링, 로드 밸런서 만들어보기 - 자바 기초 문법 복습, Getter & Setter 1. GCP로 오토 스케일링, 로드 밸런서 만들어보기 오늘은 어제 GCP로 단일 VM에 배포한 것을 넘어 이제 인스턴스 그룹을 만들어서 오토 스케일링을 만들어보고 나아가 로드 밸런서까지 만들어 봤다. GCP에서는 오토 스케일링을 만드려면 먼저 VM을 스냅샷을 찍고 그것으로 이미지를 만들고 인스턴스 템플릿이라는 것을 만든 다음에 인스턴스 그룹을 만드면 오토 스케일링이 되는 구조였다. GCP의 인스턴스 그룹이 Azure의 VMSS 느낌인 것 같다. 그리고 GCP로 로드밸런서도 만들어 봤는데 이건 Azure랑 거의 비슷했다. 프론트엔드, 백엔드를 각각 만들고 인스턴스 그룹을 백엔드에 추가해주는 식이어서 개..

'22.05.19 Today I Learned

- GCP 인스턴스 만들고 배포하는 법 - 자바 기초 문법 : 람다, 스트림 + 제네릭 외부 무료 강의 수강 1. GCP 인스턴스 만들고 배포하는 법 오늘은 또 다른 클라우드 플랫폼인 Google Cloud Platform (GCP) 에서 VM을 만들고 거기에 프로젝트를 배포하는 법에 대해서 배웠다. 인스턴스 개념은 AWS, Azure, GCP 다 비슷비슷한 거 같다. 그런데 조금 다른 점은 맥북으로 GCP에서 VM을 만들어서 파일을 업로드 하기 위해 강의에서는 브라우저 창에서 콘솔을 열어서 바로 하는 것을 알려주셨는데 이 방법으로 하니 한 가지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디렉토리를 만들고 그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파일 업로드를 하면 내가 만든 디렉토리에 파일이 업로드가 되는 것이 아니고 최상위 디렉토리에..

'22.05.18 Today I Learned

- 자바 기초 문법 자바 기초 문법을 계속해서 공부 중이다. 오늘은 예외처리, Java의 타임 패키지, 컬렉션, 제네릭에 대해서 강의를 들었다. 오늘 들은 내용도 타임 패키지를 제외하고는 쉽지 않았다. 특히 제네릭 부분은 강의만 듣고서는 도저히 무슨 말인지 이해를 할 수 없어서 유튜브에서 따로 찾아보며 공부를 했는데도 도저히 모르겠다. 제네릭 자체의 개념도 이해가 잘 되지 않는데 그보다 더 문제인 것은 아직 객체지향 자체를 이해를 덜 해서 제네릭 부분을 더 이해하지 못 하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객체지향 부분을 다시 복습하고 제네릭 부분을 다시 공부해야겠다. 스터디에서 이 부분에 대해서 다룰 때 좀 더 집중해서 듣고 질문도 많이 해야겠다. 컬렉션 부분은 재미가 있었다. 매번 자료구조라는 말을 많..

'22.05.17 Today I Learned

- Azure VMSS, Lord Balancer - 자바 기초문법 1. Azure VMSS, Lord Balancer 실시간 수업으로 Azure의 VMSS와 로드 밸런서 세팅하는 법에 대해서 배웠다. VMSS는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늘려주는 scaling할 때 쓰는 것이고 로드 밸런서는 트래픽을 분산해줄 때 사용하는 것이다. 둘 다 AWS에 비슷한 개념의 서비스들이 있어서 이해하는데 조금 도움이 되긴 했다. 그리고 로드 밸런서에는 프론트엔드 IP, 백엔드 풀, 상태 프로브, 부하 분산 규칙을 세팅할 수 있는데 이 때 백엔드 풀에 VMSS를 세팅할 수 있다. 이 때 로드밸런서를 먼저 만들고 VMSS를 로드밸런서의 리소스 그룹에 만들어야 하는 순서가 있다는 것도 배웠다. 이후에 Azure 보안에 대해서도 배..

'22.05.16 Today I Learned

- Azure 사용해서 프로젝트 한 것 VM에 올려보기 - 자바 기초 문법 (진행 중) 1. Azure 사용해서 프로젝트 한 것 VM에 올려보기 1차 프로젝트 때 작업한 것을 Azure VM에 올려보는 것을 했다. Azure 수업을 실시간 수업으로 듣고 있는데 AWS랑 유사한 점이 많은 것 같다. 그래도 아직 클라우드에 대해선 낯선 것이 더 많은 것 같다. 특히 컴공 지식스러운(ex.네트워크) 설정은 여전히 한국말로 설명해주시지만 외계어를 듣는 것 같은 느낌이다. 1차 프로젝트 작업한 걸 올리기 전에 튜터님이 주신 예제 프로젝트를 먼저 올리는 연습을 했는데 만든 VM에 파일을 다 올렸음에도 불구하고 브라우저에서 불러오지 못 하는 현상을 겪었다. 알고보니 인바운드 규칙에서 5000포트를 열어주지 않아서 그..

'22.05.09 ~ '22.05.13 (내일배움캠프 4주차) Weekly I Learned

How to record Weekly I Learned ? => 4F What is 4F? Fact : 이번주 있었던 일, 내가 한 일 Feeling : 나의 감정적인 반응, 느낌 Finding : 그 상황으로부터 내가 배운 것, 얻은 것 Future : 배운 것을 미래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1. Fact - 1차 팀 프로젝트 수행 2. Feeling & Finding - 팀 프로젝트를 하며 느낀 점 이번주는 일주일 내내 팀 프로젝트만 했다. 미니 프로젝트 이후로 처음 하는 정식 프로젝트였고 웹 개발 심화 강의에서 배운 것을 포함해서 해야되는 강의였다. 그래서였는지 미니 프로젝트를 할 때보다 확실히 난이도도 올라간 것 같고 부담도 조금 생긴 것 같다. 프로젝트를 하며 쉽지만은 않았다. 맡은 기능이 제대..

'22.05.13 Today I Learned

- 팀 프로젝트 마무리 느낀 점 - Microsoft Cloud Azure 가상 머신 만들어보기 1. 팀 프로젝트 마무리 느낀 점 지난주 금요일부터 진행된 팀 프로젝트가 오늘 마무리가 됐다. 미니 프로젝트 이후 처음으로 진행된 정식 프로젝트여서 긴장도 많이 됐고 그만큼 정말 열심히 했던 것 같다. 다행히 기한 내에 프로젝트 마무리가 모두 될 수 있었고 기획한대로 잘 구현이 돼서 뿌듯하기도 했다. 팀장이라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젝트를 진행해야되다보니 팀 커뮤니케이션 측면에도 신경을 많이 썼던 것 같다. 다행히 모든 팀원 분들이 잘 협조해주셔서 큰 트러블 없이 팀 프로젝트가 진행될 수 있었다. 그렇지만 서로 의견이 다를 때 어떤 식으로 조율을 해야할 지 이런게 아직도 어려운 것 같다. 신입으로 회사에 들어가..